구름이 피어나는 소리

[강의] Understanding Media by Understanding Google 본문

어제까지의 세계/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강의] Understanding Media by Understanding Google

우엉군 2013. 10. 28. 23:57

 

 

오늘로 코세라 Coursera에 개설된 노스웨스턴 대학교 Northwestern University 메딜 스쿨 Medill School의 "구글로 이해하는 미디어 Understanding Media by Understanding Google" 강의가 종료됐다.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측할 수 없지만, 지난 6주간 느끼고 배운 것만으로도 너무나 값진 시간들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기록하고, 공유한다.

 

 

 

#1. Audience Pyramid : Long Tail

 

W3 '구글과 광고' 강의는 브랜드 피라미드와 미디어의 기대역할을 소개한다. 슬라이드에 따르면 전통매체는 일반 공중, 디지털 미디어는 구매자, 소셜 미디어는 열성팬에게 각각 어필한다. 디지털 미디어가 제품 성능 소구를 통해 구매자들의 브랜드 로열티를 높이는데 기여한다면, 소셜 미디어는 '개인화된 메시지'를 통해 친밀도와 관여도를 높여 브랜드 자산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것. 특히 구매후 '추천'하는 열성팬은 잠재구매자에게 영향을 미치며 롱테일을 형성하고 있다. 때문에 광고주는 이들을 찾아내고(데이터 마이닝) 접근하는데(광고) 더 많은 예산을 할당하게 된다고 한다. 명쾌한 정리.

 

 

 

 

#2. Technology Cycle & Media Cycle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기업경영은 물론, 언론에서 일상생활까지 모든 것을 바꿔버리고 말았다. 주목할 것은 방향성. 기술은 점점 장소 제약을 최소화해 결국 선이라는 최소한의 한계마저 극복했고, 미디어는 영상, 음성, 기타 각종 참고자료들이 더 풍부하고 자유롭게 활용되도록 발전해 왔다. 그렇다면 '모바일 시대'를 지나 구글글래스나 스마트와치 등 '착용의 시대'로 넘어가게 되면 어떻게 될까. 여기서부터는 공상과학소설의 영역.


 

 

 

#3. Disintermediation

 

W4 '유튜브' 강의는 '탈중개화 Disintermediation' 개념을 소개한다. (Disintermediation: the elimination of an intermediary in a transaction between two parties) 아주 소소한 일상의 기록부터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 자연재해 현장 동영상, 미국 대선 캠페인에 이르기까지. 강의는 유튜브 동영상의 39%가 시민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이것이 새로운 지역 뉴스 New Local News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강조한다. 영맨 교수 Prof. Owen R. Youngman는 틈만나면 강의 중간중간 '새로운 지역 New Local'의 중요성을 설파한다. 구글이 변화시키는 미디어의 중심에 '새로운 지역'이 있다는 것. W4 과제는 자신이 속한 국가의 정치, 문화, 뉴스 영역에서 유튜브의 영향력 순위를 매기고 사례를 설명하는 것이었는데, 한참을 끙끙거리다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 너무나 도전적이었던 과제.

 

 

#4. Copyright, Privacy, Infrastructural Imperialism

 

중간중간 각종 미디어들이 어떤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진지하게 묻는 작업도 병행됐다. 구글 북스 Google Books 프로젝트와 저작권 보호, 모바일과 고독한 시간의 실종, SNS와 프라이버시 침해, 구글 미디어 수렴과 인프라 제국주의 우려. 이런 대칭점들이 미디어에 대한 사고의 깊이를 더해주고 밸런스를 잡는데 큰 도움이 됐다.

 

 

 

 

#5. References & Rich Media

 

내용이 아닌, 방법론도 새겨볼 부분이 많다. 먼저 참고문헌들. 매 강의마다 2~3개의 온라인 강의 외에도 6~10개의 참고자료가 URL 형태로 제공된다. 뿐만아니라 What Would Google Do?(by Jeff Jarvis), In the Plex(by Steven Levy), The Googlization of Everything(by Siva Vaidhyanathan) 등 권장도서도 빼놓을 수 없다. 읽고 말고는 각자 자유지만 매 강의 끝에 진행되는 퀴즈(객관식)와 과제(에세이)에서 좋은 점수를 얻고 싶다면 피할 길이 없다. 특히 에세이 과제는 입장의 설득력(4점), 사례 제시(2점), 인용문 명시(2점) 등으로 평가항목을 세분화하고 있어 더더욱 그렇다. 꽤나 과학적인 방법이라 생각했다.

 

여타 코세라 강의와 크게 다른 점은 '미디어 활용능력'. 영맨 교수는 Google+를 디폴트로 Facebook 등 각종 SNS에 계정을 만들어 전세계 학생들을 참여시켰다. 단순한 정보 공유용이 아니다. 실제로 Google+의 Hangout, Meetup 등 각종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강의의 취지를 극대화하기도 했다. 사실 초반에는 너무 많은 채널들이 오히려 커뮤니케이션 집중력을 떨어트리는 것이 아닌가 의문스럽기도 했는데, 결과적으로는 동료들의 프레즌스를 높여 학업 열정과 호기심을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6. Peer-Graded Homework

 

수강 동료들 얘기를 좀더 하자면, 영맨 교수는 1강 시작을 앞두고 자신의 Facebook을 통해 156개국에서 약 4만명의 학생들이 이 강좌에 등록했다고 밝혔다.(최종 집계는 5만5천명이었다.) 전세계에서 같은 관심사를 가진 서로 다른 인종의 사람들이 이 강의를 듣고 있다는 기분은 정말 묘하다. 동료들의 수준과 열정이 높다면 효과는 배가 된다.

 

그런 의미에서 코세라의 동료평가 Peer Assessment 시스템은 정말 훌륭하다. 원리는 간단하다. 데드라인까지 과제를 제출하면 5명의 동료들을 평가할 수 있다. 비공개로 진행되며 그저 Student 1으로만 표시될 뿐이다. 5명의 동료를 모두 평가하고 나면 자기평가가 뒤따르고 평가는 종료된다. 사실 굉장히 귀찮은 작업이다. 하지만 강의나 보충자료에서는 결코 경험할 수 없는 시점이 동료들의 과제에 담겨 있다. 나라,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관점의 차이를 경험하는 것은 정말 값진 경험이다. 디지털에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을 근거로 구글 북스 프로젝트에 반대한 누군가의 에세이는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뿐만아니라 평가가 종료되면 내 글에 대한 동료들의 코멘트를 볼 수 있는데, 그게 또 은근히 힘이 된다.

  

 

#7. Prof. Owen R. Youngman

 

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교수다. 영맨 교수는 학생들 학업 성과를 높이기 위해 스스로 최일선에서 강의에 대한 많은 것을 오픈했다. 수강 등록수 외에도 초기 구글 스폰서십 등 학생들이 궁금해 하는 것을 Q&A 형식으로 소개했으며, 각종 과제를 통해 미디어와 구글의 현주소를 각국의 상황을 분석/적용하고 동료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무엇보다 인상적인 부분은 중간 설문조사를 앞두고 수강현황 자료를 오픈한 부분이었다.(2013.10.9.) 초기 등록자 5만5천명. 이 중 2만8천명만 사이트 재방문. 또 다시 이 중 1만4천명만이 첫 강의 수강. 첫 퀴즈를 풀은 수강생은 6천명에 불과. 첫 과제 제출자는 2천3백명으로 줄어들며, 심지어 첫 동료평가는 1천9백명만이 완료. 사실 이런 내부 숫자를 오픈한다는 것은 무척 민감한 사안인데 이를 당당히 오픈함으로써 나같은 수강생에게 "그래 다 힘들다. 좀만 던 버티자" 마음 다잡게 도와줬다. 심지어 영맨 교수는 이 통계자료를 소스로 온라인 강의 '수료'의 의미가 무엇인지 화두를 던지며 학생들을 토론 포럼 Discussion Forum 커뮤니티로 안내하는 수완을 발휘하기도 했다. 

 

뿐만아니라 이런 거품 현상에 대해 코세라와 같은 Moocs 시스템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을 취할 법도 한데, 영맨 교수는 끝까지 이 새로운 조류에 대해 호의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심지어 그는 가디언지 기고문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영입하려면 모든 대학이 바로 온라인으로 뛰어들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Prof. Owen R. Youngman

 

 

돌아보면 수업은 정말 만만치 않았다. 매주 일요일 저녁이면 과제를 위해 몇시간이나 컴퓨터에 앉아있어야 했고 월요일 점심시간을 할애한 것도 한두번이 아니었다. 하지만 교수와 동료들 모두가 새로운 실험과 도전에 너무나도 적극적이어서, 그런 마음이 뻔히 보이니 도저히 포기할 수가 없었다. 수료증이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경험만으로도 무언가 아주 중요한 것을 만난 것 같다. 함께 고민하는 동료가 세계 어딘가에 있다는 것. 함께 배우고 실험한다는 것의 의미. 그리고 이 모든 것이 하나의 큰 흐름이 되어 움직이도 있다는 사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면 아마도 다음 코세라 과정에 참여하기까지는 제법 시간이 필요할 거다. 다음에도 좋은 교수, 멋진 동료들과 함께 새로운 실험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 우엉우엉.

 

 

 

Understanding Media by Understanding Google
Medill School, Northwestern University
Prof. Owen R. Youngman
2013.9.16. ~ 2013.10.28.
www.coursera.org

 

 

 

Comments